1 ssh 접속
1.1 raspbian에 기본으로 ssh가 설치되어 있어 바로 접속이 가능함
1.2 IP 확인
- HDMI 케이블이 연결된 모니터로 확인하면 raspbian 이 부팅로그를 확인할 수 있으며,
첫 부팅시 자동으로 raspi-config 메뉴화면으로 진입한다.
- FINISH 를 선택해 종료 (본 문서에서는 ssh 접속으로 설명을 진행하기 때문)
- raspbian에 할당된 IP 확인 (eth0 = LAN 케이블)
1.3 ssh 접속
- PC에서 putty 프로그램 실행
- IP:PORT를 입력 후 접속
- 첫 접속시 아래와 같은 WARNING 메세지가 보이며 YES 누른다.
1.4 기본 계정으로 로그인
- ID는 pi, 암호는 raspberry를 입력해 로그인 한다 (기본 계정)
2 root / pi 계정 암호변경
2.1 보안을 위해 root 암호를 설정하고 기본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기
2.2 root 계정 암호 변경
- $ sudo passwd root
- 새 암호 입력
2.3 기본 계정 암호 변경
- $ sudo passwd pi
- 새 암호 입력
3.1 자신이 사용할 새로운 계정을 추가하기
cf) 이 문서의 설명은 “rspi” 란 ID를 추가해 작업하였음.
필요에 따라 "rspi" 대신 원하는 ID로 바꾸기
3.2 계정 ID 추가
- $ sudo adduser rspi
- 암호 입력
- 사용자 정보 입력 (계속 엔터쳐도 무방)
3.3 계정 ID에 sudo 권한 추가
- $ sudo vi /etc/sudoers
- 마지막 줄에 pi를 복사해서 rasp 를 추가하기
3.4 재부팅 후 새 계정으로 로그인
- $ sudo reboot
- 새로운 계정으로 ssh 로그인
4.1 Timezone 변경
- $ sudo dpkg-reconfigure tzdata
- Asia 선택 → Seoul 선택 → OK 선택
4.2 Keyboard Layout 변경 (USB 키보드 연결 필요)
- $ sudo dpkg-reconfigure keyboard-configuration
- Generic 105 (intl) keys, Korea 101/104 Compat., use Ctl-Alt-BS 선택
- $ sudo setupcon
이 명령을 실행하지 않으면 keymap 관련하여 boot시 시간이 많이 걸림
5.1 최신 업데이트 체크 및 실행
- $ sudo apt-get update && sudo apt-get upgrade
- 다시 한번 명령을 실행해 보면 더 이상 업데이트 할 내역이 없다고 나옴
5.3 불필요한 추천 패키지 자동 제거
- $ sudo apt-get autoremove
6.1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설치
- $ sudo apt-get install ssh vim zip
6.2 재부팅
- $ sudo reboot
7.1 한글표시용 UNI Font 설치
- $ sudo apt-get install ttf-unfonts-core
8 samba 서버 설정
8.1 참고 URL
- http://blog.naver.com/bereally/150017167336
8.2 smaba 설치
- $ sudo apt-get install samba samba-common-bin
8.3 samba 계정 추가 및 암호 설정
- sudo smbpasswd -a rspi
- 암호설정
8.4 samba 계정 접근환경 설정
- $ sudo vim /etc/samba/smb.conf
- 맨 하단에 아래 박스내용 붙여넣기
[global] workgroup = WORKGROUP encrypt passwords = true unix charset = utf-8 charset = utf-8
[rspi] comment = rspi/samba path = /home/rspi read only = no writable = yes printable = no public = yes browsable = yes guest ok = no |
- $ sudo /etc/init.d/samba restart
8.5 samba 접속 확인
- 윈도우에서 \\IP\rspi 경로로 samba 입력되는지 확인
- 윈도우 탐색기에서 \\IP\아이디 로 접근 시도
9 FTP 서버 설정
9.1 ProFTP 설치
- $ sudo apt-get install proftpd
- standalone (기본값) 선택
9.2 설치하면 자동으로 daemon 등록되며 FTP 접속가능
'내 장비들 > Embedded Devi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휴대용 무선랜 리눅스 서버 삽질기 (1) | 2012.08.20 |
---|---|
MK802와 Raspberry Pi 비교 소감 (2) | 2012.08.15 |
오늘 라즈베리 파이에 gnuboard 4 설치 (0) | 2012.08.15 |
[Raspberry Pi] raspbian 개인 서버 설정팁 #5 : 잡다 팁 (0) | 2012.08.15 |
[Raspberry Pi] raspbian 개인 서버 설정팁 #4 : 개발자 서버 (4) | 2012.08.15 |
[Raspberry Pi] raspbian 개인 서버 설정팁 #3 : 최적화 (2) | 2012.08.15 |
[Raspberry Pi] raspbian 개인 서버 설정팁 #1 : 설치 (2) | 2012.08.15 |
MK802 입수 완료! (0) | 2012.08.14 |
Raspberry Pi를 입수 완료! (0) | 2012.08.08 |
라즈베리 파이? (0) | 2012.08.03 |